이 게시물은 오늘의집 큐레이터, 쿠팡파트너스, 활동 일환으로, 소정의 수수료를 지급받지만 저의 솔직한 후기입니다.

본 포스팅은 아이폰 15 존버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소개한다. 물론 해당되는 사람들에 한해서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고 이를 버티지 못할 것 같으면 아이폰 14 프로를 당장 구매하는 것이 좋다. 2023년 초반부터 재고가 풀리기 시작하고 있으니 지금이 절호의 기회이다.

본 포스팅은 2023년 1월 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문 요약

전작에 비해서 얼마나 많은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핵심이고 원달러 환율 변화에 따른 가격 정책을 예상해봐야 한다. 즉, 내 계좌에서 100만 원이 넘어가는 돈을 쓸 만큼 제품 가치가 있는지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참고 기준이 될 만한 것은 당연히 아이폰 14 라인업이다. 출시되자마자 똥값이 돼버리는 갤럭시와 비교하지 않도록 한다. 아이폰 15에 대한 루머는 애플 제품에 대한 전문지와 분석 애널리스트들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협력업체를 통해서 알게 된 사실과 더불어 기대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참고하기 바란다.

 

아이폰 14 프로
아이폰 14 프로

 

이유 3가지

1. 사용성을 증대시키는 디자인 변화가 예상된다.

현재 아이폰 14에서 가장 불편한 것은 충전, 버튼, 그립감 3가지다. 무선 충전을 하면 모든 것이 해결되기는 하는데 그래도 유선만큼 고속충전이 안 되는 것이 문제다. 다행히 USB-C타입이 적용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고, 실제로 유럽 전역에서 C타입을 제외한 나머지는 사용이 금지되기 때문에 환경적으로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아이폰에 탑재된 버튼은 총 4가지인데, 모두 측면에 배치되어 있어서 손으로 잡을 때 의도치 않게 누르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전원버튼과 볼륨버튼이 제거가 되고 압력 터치 방식으로 변경된다는 루머가 있다. 예전에 아이폰 7 홈버튼에 적용했던 솔리드 스테이트 기술이라고 해서 햅틱 또는 포스 피드백 방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그립감인데, 애플에서 그동안 둥근 모서리를 택하다가 최근 들어서 납작한 형태로 변경을 했다. 둥근 모서리 모델들은 소재가 미끄러워서 손에 착 감기는 맛이 없는 게 단점이었는데, 이걸 해결한다고 납작하게 만들었더니 이제는 손가락이 아프다. 그래서 중간 정도로 디자인을 설계해서 채용할 것으로 보인다. 베젤은 얼마나 줄일지 관건이다.

 

2. 당연히 전작보다 성능이 좋을 것이다.

칩, 카메라, 소프트웨어 3가지를 중점적으로 개선하는 편이다. 칩셋 성능의 경우 이번에 TSMC 3 나노 칩이 장착될 것으로 보여서 기대가 아주 크다. 별다른 설계를 하지 않더라도 나노 크기만 줄어든 것으로 전력 소모가 최대 25%나 감소하고 성능이 최대 15%까지 올라간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애플 자체적으로 변화를 주게 되면 아마 M1칩 파괴력 이상으로 엄청나게 빠른 스마트폰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지금 아이폰 14도 너무 빠른데 도대체 얼마나 더 업그레이드할지 궁금하긴 하다. 카메라는 폴디드줌 렌즈를 채용해서 카툭튀를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 갤럭시가 세계 최초로 채용했던 기술인데 이때 줄어든 카메라 두께를 보니까 약 2배 정도 축소되었다. 아이폰 14 프로의 카메라 두께가 4.2mm 정도인데 여기에서 절반이 줄어드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근데 아이폰 14 프로를 사용하고 있는 입장에서 카툭튀가 불편한 걸 못 느끼긴 하다. 단지 내려놓을 때 렌즈가 먼저 부딪히니까 뭔가 깨질 것 같은 불안한 느낌이 거슬릴 뿐이다. 자세한 내용은 2023년 업데이트 버전인 아이폰 15 루머 정리를 확인하기 바란다.

 

 

3. 원달러 환율이 떨어진 시점에서 출고가도 떨어질 것이다.

우선 아이폰의 라인업을 살펴보면 일반, 플러스, 프로, 프로 맥스 4가지다. 미니가 단종되고 플러스로 대체된 것인데 대화면 수요가 많지 않아서 계륵 같은 존재가 되어버렸다. 그렇다고 다시 미니로 변경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폰 15 예상 가격은 변동 폭이 클 것으로 보인다. 아이폰 14의 경우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갈 때 출고가가 결정된 것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판매되는 가격이 엄청 높았다. 모델마다 적용되는 환율이 다른데 인기 제품은 더 높은 환율을 적용하는 게 애플의 입장이다. 현재는 환율이 1,250원 선을 유지하고 있고 2023년 한 해 동안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하는 분위기다. 아이폰 15의 예상되는 변화와 애플의 가격 정책, 2023년 예상 환율을 모두 고려했을 때, 제품 자체 가격을 올리지만 않은다면 아이폰 15의 출고가는 떨어질 것이다. 다만, 프로 라인업의 경우 부품 가격이 인상되면서 제품 자체 가격을 200달러 정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획기적인 기술 변화에 따른 가격 상승이라기보다 주변 경제 상황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가격이 변경된다는 점을 참고하기 바란다.

 

 

지금까지 아이폰 15 존버 필요한 이유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획기적인 변화를 기대하면서 수개월을 기다리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다만 아이폰은 전작 라인업들을 사용하는데 크게 불편함이 없기 때문에 심리적인 방어가 가능한 것 같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폰이 더 이상 기능을 하지 못한다면 아이폰 14를 선택하는 것이 맞고, 그게 아니라면 조금 더 기다려도 좋을 것 같다.


아이폰 14 자급제 싸게 사는 법 3가지
아이폰 14 pro 카툭튀 고민 해결방법
아이폰 14 프로 128기가 충분할까? (용량 선택 구매 가이드)
아이폰 14 프로 AOD 배터리 비교 (상시 표시형 디스플레이)
아이폰 14 색상 선택 가이드 (사전예약 데이터)
아이폰 13 프로 vs 아이폰 14 프로 차이점 5가지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