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전동 킥보드 타는 법을 소개한다. 다양한 이유에서 킥보드에 입문하게 되는데 본인의 상황에 따라서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공유 킥보드 업체를 통해서 대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본인 자금을 투자해서 직접 구매하는 것이다. 둘 모두 장비를 타는 방법은 동일하지만 대여의 경우 스마트폰과 결제시스템을 이해할 수밖에 없다. 전반적인 내용을 함께 다루도록 하겠다.
본 포스팅은 2022년 11월 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선택 가이드
어쩌다가 한 번씩 타는 경우 혹은 타 지역으로 여행 가서 걷는 일이 많은 경우에는 공유 킥보드를 빌려서 타는 것이 훨씬 합리적이다. 다만 헬멧과 면허증을 반드시 지참해야지만 탈 수 있기 때문에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면 권장하지 않는다. 반면에 지하철이나 차량을 이용하기에 애매하고 그렇다고 걸어 다니기에는 조금 불편한 환경에 있다면 자전거 대신 전동 킥보드를 직접 구매해서 사용하는 것이 비용을 절감하는데 효과적이다. 자전거처럼 부피가 크지 않아서 원룸에서 자취하는 분들에게도 부담이 적고, 들고 다니기 편하고 힘들이지 않고 운전할 수 있어서 자전거를 완벽하게 대체하는 이동수단이다.
길거리에 널브러져 있는 공유 킥보드는 시중에 판매하는 가격으로 따지면 150만 원을 호가하는 제품이다. 그만큼 기술력, 내구성 모두 최상급인데 이만한 제품을 개인이 구매하기엔 부담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내 안전을 위해서 아무거나 구매할 수도 없는 노릇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봤을 때 40만 원 이하의 저가형 제품은 추천하지 않고, 각종 커뮤니티 또는 동호회에서 독보적으로 추천하는 브랜드 나인봇 E45 제품을 구매하면 입문자라고 하더라도 문제없이 끌고 다닐 수 있다. 모터 잔고장과 파워를 생각해서 조금 더 투자를 한다면 90만 원 정도로 판매하는 나인봇 맥스로 격상시키는 것도 꽤나 좋은 선택이다.
타는 법 5단계
공유 킥보드를 타는 방법을 위주로 설명하는데 4번 내용에서 안전하게 타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입문자인 분들은 새로 시작하는 것이 매우 두렵기 때문에 내용을 제대로 확인하고 그대로 따라 하는 것을 추천한다.
1. 헬멧과 면허증을 지참한다
헬멧 없이 타면 범칙금 2만 원이 부과되고, 면허증 없이 타면 10만 원이 부과된다. 경찰관에게 걸리면 그 즉시 킥보드에서 내려서 끌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불법 행위는 하지 않도록 한다. 공유 킥보드 업체 중 헬멧을 제공하는 곳은 2022년 기준 킥 고잉과 알파카 두 군데뿐인데 이마저도 일부 제공하지 않는 지역도 있어서 복불복이라고 할 수 있다.
2. 공유 킥보드 앱을 설치하고 위치를 찾는다
필자는 수도권에 살고 있기 때문에 킥 고잉 와 씽씽 2개 업체를 주로 이용하고 있다. 앱을 설치하면 킥보드가 있는 위치를 지도로 알려준다. 현재 내가 있는 위치 주변에 대여할 수 있는 킥보드를 확인하고 배터리가 충분한지 등의 여부를 고려하면 된다.
3. 결제 후 QR코드를 이용해서 잠금해제를 한다
킥보드를 이용하기 전에 사전에 면허증과 결제수단을 등록하도록 되어있다. 이것을 완료하면 킥보드 상단에 있는 QR코드를 인식하는 것으로 모든 결제가 완료되고 자동으로 잠금해제가 되면서 곧바로 운전할 수 있다.
4. 발로 바닥을 밀면서 동시에 가속 레버를 돌린다
킥보드 타는 법의 핵심은 출발이다. 제로 스타트와 킥&고 스타트 2가지 방식이 있는데, 제로 스타트는 가속 레버를 돌리면 곧바로 출발하는 것이고, 킥&고 스타트는 바퀴를 굴려야지만 움직인다. 대여업체에서 빌리는 킥보드는 킥&고 스타트를 적용하고 있다. 제로 스타트의 경우 아직 제대로 타지도 않았는데 실수로 가속 레버를 건드렸을 때 사고가 날 수 있기 때문에 입문자 분들에게 추천하지 않는 방식이다. 운전하는 과정에서는 바람의 저항을 온몸을 받기 때문에 몸이 뒤로 밀린다. 그래서 속도를 많이 낼 때는 중심을 제대로 잡기 위해서 몸을 앞으로 기울이는 것을 권장한다. 이외 자세한 내용은 킥보드 사용법 입문자 편을 참고하길 바란다.
5. 반납의 경우 주차 허용 지역 내에서 가능하고 주차 사진을 찍고 마무리한다.
반납 금지 구역은 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되고 있다. 이것은 앱을 통해서 충분히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목적지 인근에 주차 가능한 구역을 미리 확인해야 한다. 반납 오류로 인해서 고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표적으로 카카오가 먹통 되었거나 GPS 오류로 인해서 반납 절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이 때는 초과 요금이 발생하는데, 해결 방법은 고객센터 1670-3737으로 전화해서 강제 반납을 하고 추가 요금에 대해서 환불을 받는다. 고객센터 운영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8시까지이다.
지금까지 전동 킥보드 타는 법 5단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입문자 또는 뉴비들에게 충분히 도움되길 바란다.
여자 뱃살 빼는 법 3단계 (개인 후기)
매일 3km 달리기 효과 극대화시키는 방법 5가지
2시간 만에 5kg 빼는 법 3단계 (개인 후기)